
이승미 교수의 심리학입문
- 543호
- 기사입력 2024.07.11
- 취재 오채연 기자
- 편집 장수연 기자
- 조회수 3671
우리 대학에서 열리는 많은 심리학입문 수업 중, 금요일 1교시 수선관을 빛내는 수업이 있다. 바로 이승미 교수의 심리학입문 수업이다. 수업 내용에 관해 설명해 주었을 때 모두 웹드라마에서 봤던 대학교 로망에 부합하는 강의라고들 반응할 만큼 사랑에 관한 심리학적 주제를 많이 다루고, 사랑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다양한 사람들과 가벼운 대화를 나누는 것이 주가 되는 수업이다. 그렇기에 부담 없이 재밌게 듣고 많은 인연을 얻어갈 수 있는 교양이다. 대학교 1학년 1학기, 캠퍼스에 꽃이 피는 계절에 수강하기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기인사 강의라고 말하고 싶다.
◆ 수업 방식
수업은 교수의 이론 수업, 약 5명의 학생이 무작위로 모여 교수가 제시한 주제에 대해 가볍게 토의하고, 팀별로 나와 조원들끼리 나눈 의견들을 모아 발표한 뒤, 가장 공감을 많이 받은 팀의 발표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보통 3시간의 수업을 두 파트로 나누어 이론 수업과 팀별 토의 및 발표로 나누어 진행한다.
이론 수업은 MBTI, 대인관계의 심리학, 의사결정의 심리학, 범죄심리학 등 매우 흥미로운 주제를 다룬다. 특히 대인관계의 심리학에서는 ‘사랑’이라는 감정의 심리학적 요인에 대해 심도있게 다루고, 의사결정의 심리학에서는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심리학적 지식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이후 이론 수업 때 다루었던 주제 중 교수가 선택한 몇 가지 주제에 대해 팀별로 토의를 진행한다. 결코 부담스럽지 않은 가벼운 의견 교류 정도의 토의로, 필자는 이 팀별 활동을 하며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 친분을 쌓을 수 있었다. 몇 가지 주제를 예로 들자면 나만의 플러팅, 사랑하는 상대가 해줬으면 하는 행동, 자신의 행동이 변화한 일화와 그 계기 등이 있다. 이렇게 팀별로 이야기를 나눈 후 각자 팀에서 나눴던 의견들을 발표한 뒤, 수강생들의 거수투표를 통해 가장 공감을 많이 받은 두 팀에게 가산점을 부여한다.
수업이 끝난 후 자신만의 방식으로 수업을 요약한 파일 또는 팀별 활동을 통해 느낀 점에 대해 적은 파일을 아이캠퍼스에 과제로 제출해야 한다.
◆ 평가 방식
2023년 1학기 기준 평가는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0%, 수업 시간 팀별 활동 및 과제 제출 20%, 심리학 연구 참여 5%, 출석 15%로 네 부분을 통해 이루어진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비중이 큰 만큼 교수가 배포한 강의 교안의 내용을 충실히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간, 기말고사 모두 객관식과 주관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객관식은 사지선다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는 형태라 강의 내용을 세세하고 정확하게 암기하는 것이 좋다. 다행히도 시험 범위가 넓지 않고, 교수가 배포한 pdf 교안에서만 출제하므로 시험에 대해 크게 부담 느낄 필요는 없다. 매 시험이 끝난 후 성적 50% 컷, 70% 컷, 90% 컷을 공개하기 때문에 다음 시험에서 본인이 얼마나 더 열심히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알 수 있다.
우리 대학에서 열리는 다른 심리학 수업과 마찬가지로, 두 번의 심리학 연구에 참여해야 한다. 심리학 수업을 듣는 전교생이 참여해서 학기 초반에는 연구에 참여하고 싶어도 신청 인원이 많아 1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률이 세다. 따라서 학기 말 또는 시험 기간에 열리는 심리학 연구에 신청해서 참여하는 것을 추천한다. 필자는 결국 심리학 연구에 참여하지 못해 대체 과제를 제출했는데, 대체 과제는 참여하지 못한 심리학 연구 한번 당 한 권의 심리학책을 읽고 약 3장의 독서감상문을 제출하면 된다.
수업 시간 팀별 활동 및 과제 제출은 상술했듯 팀별 발표 가산점과 매주 아이캠퍼스로 제출한 과제 점수를 합산해 성적을 내는 방식이다. 많은 인원이 듣는 수업인 만큼, 가장 많이 공감을 얻은 팀 발표로 꼽혀 가산점을 얻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럼에도 적극적이고, 재미있게 발표한다면 학우들의 공감을 얻어 가산점을 얻을 수 있다. 발표를 위한 팀 구성은 정해진 규칙 없이 주변에 함께 앉아 있는 학우, 저번 발표를 같이했던 학우 등 매주 자유롭게 구성하면 된다.
◆ 수강생에게 한 마디
대학교에 입학해 첫 교양으로 이승미 교수의 심리학입문을 들으며 필자는 다양한 사람들을 알아갈 수 있었고,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중요한 심리학적 개념들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특히나 다인원이 수강하는 강의인 만큼 나와는 다른 계열, 학과의 사람들을 많이 접할 수 있었고, 이들과 다양한 심리학적 주제에 관해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서로 쉽게 친해질 수 있었다. 수업에서 다루는 심리학 주제가 모두 흥미로워서 팀별 활동을 하며 의견을 나눌 때 모두 적극적이고 재미있게 한다. 따라서 팀플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을 가질 필요도 전혀 없다. 대학교에 갓 입학한 새내기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기인사 수업이며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강의일 것이라 장담한다.
No. | 제목 | 등록일 | 조회 |
---|---|---|---|
183 | 564호 김인식 교수의 기초 프랑스어1 | 2025-05-27 | 1269 |
182 | 562호 배선애 교수의 창의적 글쓰기 | 2025-04-27 | 2277 |
181 | 560호 조디 바론 교수의 영어발표 | 2025-03-25 | 1983 |
180 | 558호 이천승 교수의 고전명저북클럽 | 2025-02-25 | 2854 |
179 | 556호 김진 교수의 역사학 입문 | 2025-01-26 | 5835 |
178 | 554호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필수적인 도구 도널린졸슨 교수의 영어 발표 | 2024-12-24 | 2629 |
177 | 551호 2024 SKKU Teaching Award 수상자 인터뷰 스포츠과학과 엄길호 교수 | 2024-11-14 | 9818 |
176 | 550호 2024 SKKU Teaching Award 수상자 인터뷰 혁신수업우수사례 통계학과 김재직 교수 | 2024-10-29 | 6084 |
175 | 550호 2024 SKKU Teaching Award 수상자 인터뷰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조슈아잭맨 교수 | 2024-10-25 | 5714 |
174 | 550호 2024 SKKU Teaching Award 수상자 인터뷰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홍석준 교수 | 2024-10-24 | 6488 |
- 처음 페이지로 이동
- 이전 페이지로 이동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다음 페이지로 이동
-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