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각(尊經閣)과의 인연 - 2편

  • 418호
  • 기사입력 2019.04.30
  • 편집 이수경 기자
  • 조회수 4573

글 : 이현일 한문교육과 부교수


협주명현십초시(夾注名賢十抄詩)를 제목 그대로 풀이하자면, 훌륭한 인물들[名賢]의 시집에서 각각 열수씩 뽑은 시[十抄詩]에 주석을 끼워 넣은[夾注] 책이다. 이 책의 바탕이 되는 명현십초시는 고려초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며, 명현십초시 역시 매우 희귀하지만, 지금 몇몇 도서관에 간본(刊本)이 전한다. 주석을 붙인 사람은 고려 후기의 신인종(神印宗) 승려인 월암산인(月巖山人) 자산(子山)이다. 이 책은 고려시대 간본은 전하지 않고, 지금 전하는 본들은 모두 조선 단종(端宗) 즉위년(1452)에 중간(重刊)된 책들로 추정된다.


협주명현십초시에는 모두 30명에 이르는 시인들의 시가 각각 10편씩, 모두 300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이 시들은 모두 칠언율시(七言律詩)이다. 칠언율시는 일곱 글자[七言]로 된 한 줄[句]이 여덟 개 모여서 이루어진 시로, 한시의 여러 시체(詩體)들 중에서 가장 화려하면서 형식적 제약이 가장 엄격한 편에 속한다. 


주로 중당(中唐)과 만당(晩唐) 시기에 활동했던 시인들의 작품이 뽑혀 있는데, 그 중에는 유우석(劉禹錫), 백거이(白居易), 온정균(溫庭筠), 피일휴(皮日休), 가도(賈島) 등 유명한 시인들도 있고, 위섬(韋蟾), 이웅(李雄), 오인벽(吳仁璧) 등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시인들도 섞여 있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최치원(崔致遠), 박인범(朴仁範), 최승우(崔承祐), 최광유(崔匡裕) 등 신라인들의 작품이 실려 있어서 특히 의미가 깊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엮은이가 중국인과 신라인을 어떠한 구별도 하지 않고 같이 묶었다는 사실이다. 30명 중의 4명. 고려초 지식인들은 동아시아 한문학 유산에서 그 정도 지분은 우리가 주장할 만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조선초의 김종직(金宗直)은 우리나라 역대 한시 선집인 청구풍아(靑丘風雅)를 엮고, 그 서문에서 신라말부터 자신이 활동했던 시기까지 700여년 사이의 한시사를 3단계로 구분했다. 김종직의 구분을 따르자면, 제1기는 신라말부터 고려초로 만당(晩唐)의 영향을 받았던 시기이며, 제2기는 고려 중엽으로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았던 시기이며, 이제현(李齊賢) 이후부터 김종직이 활동하던 당대(當代)까지는 원(元)나라의 영향을 받은 시기로 제3기가 된다. 이 협주명현십초시는 제1기에 해당하는 시기를 반영한다.


오늘날 우리 입장에서 이 책을 이해할 때 꼭 생각해 보아야 하는 것이 유학(留學)과 한문(漢文)과 과거제(科擧制)이다. 신라 지식인들의 당나라 유학 열풍은 오늘날의 해외 유학 열풍과 비교해도 결코 못하지 않았다. 특히 신분 상승에 제약이 있던 육두품(六頭品) 지식인들의 경우 당나라에 가서 그곳의 과거에 합격하는 것을 일생의 목표로 삼았다.

 

최치원, 박인범, 최승우는 당나라의 과거에 합격을 하였고, 최광유는 끝내 합격하지 못하였다. 이 책에 실린 박인범의 시에는 과거에 합격한 다음 해 시험 보는 시기를 즈음하여 힘겨웠던 지난날을 추억하고, 지금은 안도하는 심정을 표현한 작품이 남아 있고, 먼저 과거에 급제하여 귀국하는 벗을 전송하는 최광유의 시에는 좌절과 선망(羨望)이 뒤섞여 있다.


이들의 활약 이후로 우리나라에는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文語)였던 한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공부하는 이들이 갈수록 많아졌다. 또 고려 광종(光宗) 이후 과거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조선 시대로 들어와 아예 사대부(士大夫) 위주로 나라가 운영되면서, 그 숫자가 더욱더 증가했다. 유교 경전에 대한 이해 및 한문 독해와 작문 능력을 평가기준으로 삼은 과거제는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시대 구분의 기준이 될 정도로 큰 흔적을 남겼다. 유교적 소양과 박식함을 갖추고 한문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이 우리 사회에 중요한 문화 자본으로 자리 잡았으며, 한문은 아직까지도 우리 문화와 말에 지울 수 없는 자취를 남겼다.


이 협주명현십초시가 엮어지고 널리 읽히게 된 것도 과거제의 시행에 따른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고려 초기에 명현십초시가 엮어진 것도 그렇지만, 특히 협주명현십초시가 단종 즉위년에 중간된 것도 이 해 문과(文科)에 응시하기 위한 자격시험에 사장(詞章)을 시험하는 진사시(進士試)가 부활된 것과 관련이 깊다.


문명의 중심부를 애타게 바라보고 그들의 학문을 배우기 위해 뛰어난 인재들이 끊임없이 유학을 떠나는 상황이나, 시험을 통해 능력을 검증하는 것을 선호하고, 특히 고위 공직자가 될 사람을 뽑는 데 국가고시를 중시하는 경향 등은 오늘날에도 우리 삶과 사회 속에 녹아들어 유전자(遺傳子)처럼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1990년대 중반 이후 한·중·일 학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우리야 우리 옛 시인들이나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이 책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당연하지만, 중국이나 일본 학자들까지 이 책에 주목한 것은 어떤 까닭이 있을까? 


중국 사람들은 자신들을 ‘시의 나라[詩國]’으로 일컬을 정도인데 그네들의 시사(詩史)에서 가장 정점(頂點)에 있는 것이 당시(唐詩)이다. 청(淸)나라 때 편찬된 당시 전집인 전당시(全唐詩)에는 대략 2,200명의 시인들의 48,000수가 넘는 시편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협주명현십초시에 실린 시는 단 300수에 불과하지만, 그 중 100수 정도가 전당시에 실리지 않은 작품들이고, 심지어 그 존재가 처음 알려진 작가도 있다. 또 이미 알려진 작품이라도 작품의 본문에 이문(異文)이 많아서 교감(校勘)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데, 이는 처음에 시를 뽑을 때 사용한 시인들의 문집이 지금 전하는 중국의 통행본과 달랐음을 증명한다. 뿐만 아니라 주석에 인용된 책들 중에는 본토에서 이른 시기에 실전된 희귀한 문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런 점들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해 하는 독자들이 있을 듯하여, 실례를 하나 들어서 설명해 보려고 한다. 가령 나업(羅鄴)의 영물시(詠物詩)인 「나비(蛺蝶)」에 나오는 “절개 지킨 아내의 옷이 변한 모습이라 세속에서 전하고(俗說義妻衣化狀)”라는 구는 아무리 한문 해독력이 탁월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주석이 없으면 무슨 의미인지 파악할 수가 없다. 협주명현십초시에는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운문(韻文)인 양산백축영대전(梁山伯祝英臺傳)을 60구나 싣고 있다. 이 작품은 본토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잃어버린 자료이다.


여주인공 축영대는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남장(男裝)을 한 채 집을 떠나 학교로 가다가 우연히 길에서 양산백을 만나게 되고, 학교에서 둘은 더욱 우정이 깊어져 의형제까지 맺게 된다. 우여곡절 끝에 축영대는 자신이 여성임을 밝히고, 둘은 사랑에 빠져 결혼하기로 약속하였으나, 엇갈린 인연 탓에 양산백이 먼저 세상을 떠난다. 축영대가 양산백의 무덤에 가서 통곡하자, 무덤이 갈라지고 축영대는 주저 없이 그 안으로 들어가는데, 그녀의 부모가 뒤따라가 옷자락을 붙들고 말렸으나 막지 못하고, 옷만 산산조각으로 갈라져 수많은 나비들로 변했다고 한다. 나업의 위의 시귀는 이 전설을 모르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양산백과 축영대의 슬픈 사랑 이야기는 중국에서 1500년 넘게 연극, 소설, 드라마, 영화로 거듭해서 창작되는 대표적인 민간전설로 자리매김했고, 시대와 장소에 따라 여러 각편(各篇, version)들이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 책의 주석에 인용된 양산백축영대전은 이 전설의 초기 원형을 고스란히 잘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두 사람의 무덤으로 알려진 곳이 중국 전역에 한두 군데가 아니다. 협주명현십초시에는 십도지(十道志) 인용하여 “명주(明州)에 양산백의 무덤이 있다.”라는 주석도 소개하고 있다. 십도지의 본래 명칭은 십도사번지(十道四蕃志)로 측천무후(則天武后) 시절 활동하던 양재언(梁載言)이 지은 인문지리서이며, 역시 중국에서는 오래 전에 잃어버린 책이다. ‘명주’는 지금의 절강성(浙江省) 닝보[寧波]인데, 적어도 당나라 전기부터는 이곳을 양산백·축영대 전설의 무대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오늘날 그 유적을 양축문화공원(梁祝文化公園)으로 가꾸어 놓았다.


학자들은 이곳이 고려의 사신과 상인들이 송나라에 올 때 경유했던 주요 상륙지 중의 하나인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곳을 지났던 많은 고려인들 중의 누군가가 양산백축영대전을 입수하여 고려로 가지고 간 것이다. (우리나라 남쪽 바다에서 이곳으로 해류가 흘러서 가끔 풍랑을 만난 사람들이 이곳까지 흘러가기도 하는데, 조선 시대 최부(崔溥)도 그런 사람들 중 하나였다. 최부는 풍랑을 겪고 우여곡절 끝에 닝보에 상륙하여 조선으로 귀환하기까지 자신의 견문과 체험을 기록한 표해록(漂海錄)을 남겼는데, 당시 명(明)나라의 여러 상황을 생생하게 기록한 중요한 문헌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아쉬운 점은 존경각본에는 이 대목이 낙장되었다는 것이다. 서문과 발문이 온전하고 다른 곳에도 낙장이 없었다면, 중국에서 시진핑[習近平] 주석 같은 귀빈이 우리 학교를 방문했을 때 최신 복제 기술로 한지(韓紙)에 인쇄한 뒤 옛 제본 방식을 재현한 정밀 복제본을 만들어 기념품으로 선물할 만할 책이다. 물론 지금 그 대로도 꺼내 놓고 보여 드릴 만한 책 중의 하나이다. 앞에서 언급한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탁된 선본과 같은 상태의 책은 ‘착한 가격’ 뒤에 0을 하나 더 붙이더라도 구하기 어렵다. 이런 선본이 존재하는지조차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책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신라·고려 시대에 중국과 활발히 교류하였고, 그 결과 중국 본토에서도 이미 사라진 희귀한 서적들을 다량으로 보유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그러면 이처럼 의미 있는 한시 선집이 왜 조선 중기 이후로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을까? 한 마디로 말하면 유행이 지났기 때문이다. 앞서 이 시선집이 중만당(中晩唐) 시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언급한 바 있거니와, 16세기 이후로 조선에서도 성당(盛唐) 시기의 시를 으뜸으로 삼는 명대(明代) 복고파(復古派)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협주명현십초시에 실린 시들을 배워야 할 표준으로 생각하지 않게 되었고, 더 방대하고 체계적인 당시(唐詩) 선집이 중국에서 수입되어 보급되면서 이 책은 점차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질 수밖에 없었다.


깊은 서재에서 세월의 풍화작용에서 살아남은 몇 부만 오늘날까지 전해지다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타임캡슐처럼 나타난 것이다. 이런 책이 가치를 인정받고 보존되는 것은 책을 갈무리하는 도서관이라는 기관과 고서에 가치를 매기고 사고파는 시장과 학자들이 소속되어 생계를 유지하고 학문 후속세대를 키울 수 있게 해 주는 대학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대학과 도서관뿐만 아니라 ‘시장’을 꼽은 것을 의아하게 생각하는 독자도 있을 듯하다. 예나 지금이나 이런 ‘물건’들은 ‘시장’을 통해서 ‘가격’이 적당하게 매겨지지 않으면 존속을 장담할 수 없다. 인사동에 가보면 고서점을 돌면서 조선 시대에 워낙 많이 찍어내서 값이 안 나가는 고서만 골라서 사가는 이들이 있다. 책방 주인에게 물어 보니, 질 좋은 새 한지를 사는 것보다도 이런 책들을 사는 것이 싸기 때문에 한지 공예를 하는 분들이 사다가 책을 분해해서 공예품의 재료로 이용한다는 것이다. 일종의 ‘재활용’인 셈인데, 공부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몹시 씁쓸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잘못하여 사는 사람이나 파는 사람이나 책의 가치를 전혀 모를 경우 귀한 책이 횡액을 당하는 사건이 벌어질 수도 있다. 지금 문제가 되는 훈민정음(訓民正音) 상주본(尙州本)의 경우도 결국 원주인이 책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에 생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을 쓰면서 거의 10년 만에 끝내 투고하지 못한 구고(舊稿)를 꺼내어 읽어 보니, 다시 아쉬워졌다. 이미 글쓴이가 쓰려는 방향으로 다른 분들이 쓴 논문들이 여러 편 나왔다. 하기야 그 동안 우물쭈물하다가 놓친 것이 논문 한 편뿐이겠는가? 이 정도는 가슴아파할 것도 못된다.

[협주명현십초시]


한문학(漢文學)의 ‘원어민(原語民)’들은 지금 모두 땅속에 누워 계신다. 오늘날 이런저런 실용 외국어를 배우듯이 그곳에 가서 그네들과 더불어 살아가며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가 없고, 영화, 드라마, 만화를 보면서 저절로 익힐 수도 없다. 열심히 책을 읽고 좋은 문장을 외우고, 어휘들의 용례를 세심히 검토해서 언어에 대한 감각을 익혀야 하고, 그 시대 그 작가와 연관된 사항들을 최대한 많이 공부해서 시대와 작가를 보는 시야를 폭넓게 키워야 한다.


21세기 들어와서 우리와 중국의 옛 문헌들도 대단히 많은 수량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디지털 기기를 통해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자들 입장에서 대단히 편리해졌음은 말할 나위도 없으려니와, 연구의 양상 자체도 많이 바뀌었고, 과거에는 엄두도 낼 수 없었던 업적들을 산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전공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는 꼭 바람직한 영향만 끼쳤다고 장담할 수 없다. 언제부턴가 대학원생들이 책을 사지도 않고, 책 한권을 끝까지 다 읽지도 않고, 열쇠말 몇 개를 정해서 검색한 뒤, 그 결과를 적당히 가공해서 글을 쓰는 경우가 점차 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단순한 검색은 결코 체계적인 지식을 대체할 수 없다. 검색한 결과를 제대로 해석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구자 머리 속에 축적된 지식이 많아야 한다. 연구자의 감각과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색 결과 자체만 가지고 제대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다. 비유컨대, 고속철도를 타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세 시간 만에 도착할 수는 있고, 비행기를 타면 그보다 더 빨리 도착할 수 있다.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만 놓고 보면, 옛날처럼 몇날며칠을 말을 타거나 걸어서 가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지만, 직접 여행한 사람이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던 국토산하(國土山河)와 인정풍속(人情風俗)에 대한 감각은 결코 키울 수 없다.


우선 도서관에서 특정 학문이 전체 학문 체계에서 어떻게 분류되고 있으며, 어떤 종류의 책이 어떤 서가에 배열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 자체가 공부의 시작이다. 그리고 도서관에 소장된 모든 책을 다 읽어 본 학자는 아직 없다. 학자들에 따라 같은 책을 두고 다르게 해석하기도 하지만, 어떤 책들을 읽느냐에 따라서 어떤 학자가 될 지 결정되기도 한다.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한 정보를 찾기 위해서 도서관에 갈 때도 있지만, 특정한 목적이 없어도 그 안에서 놀면서 호기심 가는 대로 책들을 계속 읽어 나가야 한다. 이 책을 읽다 거기 인용된 저 책으로, 다시 거기 인용된 다른 책으로 계속해서 호기심 닿는 대로 읽어야 한다. 도서관이 단순히 그때그때 필요한 정보를 얻으러 가는 곳에 그쳐서는 안 된다.


만약 단순히 도서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생각으로 종이 책을 모두 전자책으로 바꾸거나, 도서관을 폐가제(閉架制)로 운영하되 대출할 수 있는 책의 수량을 엄격하게 제한한다면, 인문학은 서서히 말라 죽을 수도 있다. 의도하지 않게 ‘넛지(nudge)’ 이론이 안 좋은 방향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10장 안팎의 짧은 논문을 읽거나, 책 한권에서 필요한 부분만 금방 찾아 읽을 때를 제외하면, 종이책이 훨씬 낫다. 종이 책의 유일한 단점은 검색이 안 된다는 것인데, 책 안 읽는 버릇을 고치기 위해서는 그마저도 장점이 될 수 있다.


우리 학교 문헌정보학과에 계시다가 퇴임하신 뒤, 지금은 한국고전번역원장으로 재임 중이신 신승운 선생님께서는 예전에 글쓴이에게 이런 말씀을 해 주셨다. “이군, 학자가 공부를 제대로 하려면, 돈이 아주 많아서 집 안에 도서관을 차리거나, 도서관 속에서 사는 수밖에 없네.”


글쓴이가 공부할 때는 언제나 마음껏 꺼내 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햇빛도 들지 않고 바람도 통하지 않는 컴컴한 지하 서고에 보관된 존경각의 양장본들을 생각하면, 후배이자 제자들에게 미안한 마음뿐이다. 도저히 그곳에 가서 살라는 말을 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아쉬운 대로, 지난 2학기에 도서관의 담당 사서 선생님께 부탁드려 지하 서고에 소장된 참고도서 목록 수천 종이 정리된 엑셀 파일을 얻었다. 며칠 동안 짬짬이 검토해서, 국문학과 한문학 전공 연구자들이 참조할 만한 사전류 수백 종 정도만을 추려서 그 책들만이라도 열람실에 비치해 달라고 간청했는데, 아직 결과를 확인해 보지는 못했다.


동아시아학술원의 교수님들과 연구원, 직원 선생님들은 학술원에 대한 애정이 깊기 때문에, 가끔 술자리에서 복권에 당첨되면 그 돈으로 학술원을 위해서 독립된 공간을 만드는 일에 기여하고 싶다는 말씀을 하신다고 들었다.


학창시절 받은 혜택을 생각하면, 글쓴이도 뭔가 도움이 될 만한 일을 하고 싶은데, 우리 옛 글이야 번역해서 책을 내도 거의 팔리지 않으니,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실대로 말하자면, 자비로 책을 사서 가까운 분들에게 선물로 드리는 형편이다. 개인적으로 인세(印稅)로 받은 것보다 두세 배쯤 더 지출했다. 경제적 관점에서 보면 영락없는 바보짓이다.


여러 선생님들을 모시고 8년 동안 고생해서 신라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우리 옛글들을 골라서 번역하여 책을 아홉 권이나 낸 것이 재작년 12월이다. 작업을 시작했을 때와 비교해 보면 출판 업계 사정은 해마다 눈에 띄게 어려워졌다. ‘초판 10만부’를 호언장담(豪言壯談)하던 편집주간은 이미 한참 전에 회사를 떠났다.


남에게 금전적으로 손해를 끼치는 것도 미안했고, 글쓴이 딴에는 최소한 한 세대, 길게 보면 반세기(半世紀) 이상 꾸준히 읽힐 것을 염두에 두고 시작한 일인데, 그 동안 들인 공력(功力)이 그대로 묻히는 것이 아까워서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 어린 시절 처음 개점(開店)하는 날부터 놀러갔던 시내 대형 서점들도 이제는 양서(良書)를 빠짐없이 갖추려 하기보다는 거대한 신간 도서 전시장으로 변해서,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초판을 내고 반응이 신통치 않으면 곧 시장에서 사라지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출판사에서 삼일운동 백주년을 기념해서 올해 출간을 목표로 20세기 이후 한문으로 지어진 글들을 다루는 후속 작업을 한 권만 더 이어서 간행하자는 연락이 와서 지금 작업 중이다. 10년 가까이 함께 고생한 편집자는 마음이 여린 사람인데, 지난 연말 보낸 안부 메일에는 선생님들 덕분에 견조(堅調)한 매출을 올려서 감사하다는 뜻이 담겨 있었다. 그 얼마 뒤에 출판사에서 펴낸, 갓 번역해 따끈따끈한 하루키의 소설 세 권을 보내왔다. 책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10년도 더 전에 다른 학교 국문과에 계시는 교수님께서 해 주신 말씀이 떠올랐다.


“이 선생, 사람들이 하루키나 코엘료만 읽는다고 너무 불평하지 말아요. 그 작가들 작품에서 나오는 수익 덕분에 대한민국 출판사들이 인문학 책을 찍어 내고 있어요.”


무언가를 간절히 원하면 온 우주가 도와준다고 하는데, 글쓴이도 학술 논문 쓰는 틈틈이, 수업이나 학교 업무가 없는 날이면, 오전 10시 30분에 파스타를 삶아 먹는 것으로 하루 일과를 시작해서, 비틀스의 「우주를 가로질러(Across the Universe)」를 흥얼거리며, 하루키나 코엘료 비슷한 소설이라도 써볼까 생각하지만, 그도 이미 유행이 지나 가고 있는 듯하다.